KoreaWho
KoreaWho
시장과머니  해외증시

페이스북 맞먹는 '대어' 떴다, 에너지기업 '벤처글로벌' 상장에 미국 증시 들썩

김태영 기자 taeng@businesspost.co.kr 2025-01-21 16:05:2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올해 미국증시에 데뷔하는 기업 가운데 가장 몸집이 클 것으로 전망되는 ‘벤처글로벌(Venture Global)’이 상장을 앞두고 있다.

시장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중인데, 상장 이후에도 주가에 대한 기대감은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페이스북 맞먹는 '대어' 떴다, 에너지기업 '벤처글로벌' 상장에 미국 증시 들썩
▲ 올해 미국증시 최대어인 벤처글로벌이 상장을 앞두고 있다. 사진은 루이지애나주에 위치한 벤처글로벌의 LNG 시설. < Venture Global >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미국증시 최고의 대어(大魚)로 꼽히는 벤처글로벌이 오는 24일(현지시각) 상장한다. 

벤처글로벌은 기업공개 과정을 통해 약 26억 달러의 자금을 모았다. 기존 계획은 최대 23억 달러였으나 흥행에 성공하면서 액수가 더 커졌다.

이번 달 미국증시에선 벤처글로벌 외에도 17개의 기업들이 이미 상장했거나 상장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벤처글로벌보다 더 크게 자금을 모집했거나 모집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은 없다.

뿐만 아니라 현재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해 둔 상태인 24곳 가운데서도 벤처글로벌보다 크게 자금을 모을 기업은 없을 것으로 점쳐진다.

벤처글로벌은 기업공개에서 책정된 시가총액도 약 1100억 달러로 영국의 BP(British Petroleum), 중국의 시노펙보다 덩치가 크다.

또한 상장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2012년 페이스북(1040억 달러), 2014년 알리바바(1750억 달러) 이후 세 번째로 미국증시에서 몸집 1천억 달러대의 대어가 등장하는 것이 된다.

벤처글로벌은 미국 버지니아주에 본사를 둔 LNG(액화천연가스) 기업이다.

기존 에너지 기업들과는 달리 LNG 터미널을 건립하는 데 ‘모듈’ 자재를 도입함으로써 혁신을 불러온 것으로 유명하다. 모듈은 공장에서 미리 대량 생산해 둔 뒤 추후 현장으로 옮겨 조립하는 식으로 터미널을 짓는다. 

이를 통해 터미널 건립 시간을 기존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이고 가격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BP 등 거대 고객사들과 조기계약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경쟁사들은 가격이 비싸며 활용도가 떨어지는 맞춤형 자재들을 써왔다.

2023년 기준 벤처글로벌의 매출은 79억 달러, 영업이익은 49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36.11%, 21.54% 증가했다. 

단순 계산으로도 영업이익률이 62% 수준인데 2022년 1분기 기준 글로벌 유틸리티 업종의 에비타(EBITDA) 이익률은 34.29%였다.

증권가에선 벤처글로벌이 상장 이후에도 주요 에너지주로 떠오르면서 주가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글로벌적으로 LNG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수혜가 가능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S&P글로벌에 따르면 글로벌 LNG 수요는 2023년 4억 톤에서 2030년 6억 톤으로 50%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 증가분 가운데 절반 이상을 미국이 공급하게 될 것으로도 전망되고 있다.

이 가운데 증권가에선 벤처글로벌의 장기계약 규모로 볼 때, 향후 20년 동안 최소 1천억 달러의 매출을 일으킬 수준이라는 추계도 나온다.
 
페이스북 맞먹는 '대어' 떴다, 에너지기업 '벤처글로벌' 상장에 미국 증시 들썩
▲ 트럼프 2기 정부에서 벤처글로벌의 수혜가 가능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전날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벤처글로벌 입장에선 가장 큰 호재라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부터 줄곧 화석에너지 생산을 재개하고 LNG 수출을 늘리겠다고 주장하던 인물이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일부 LNG 프로젝트에 부과한 일시중지 명령도 트럼프는 무효로 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당장 전날 취임식에서도 에너지 가격을 잡아야 한다면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이며 우리는 굴착할 것”이라 발언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벤처글로벌의 CEO(최고경영자)가 작년 4월 트럼프의 별장에서 열린 에너지 기업 총수 회담에 참석한 적 있으며 트럼프쪽 전직 인사 여럿이 현재 벤처글로벌에 속해 있는 것으로도 전해졌다. 

또한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식에도 최고액수인 1백만 달러를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글로벌이 향후 미국증시 에너지 업종의 ‘테슬라’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는 이유다.

씨티그룹의 전직 연구원이자 슈나이더캐피털 자산운용의 창립자인 팀 슈나이더는 “벤처글로벌의 상장 타이밍은 이보다 더 좋을 수가 없다”며 “모든 조건이 우호적”이라 평가했다.

한편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확대함에 따라 벤처글로벌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AI 데이터센터는 기존 데이센터보다 더 큰 전력을 소모하는데 이들 빅테크 기업은 탄소배출 기준을 맞추려 노력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LNG는 석탄보다 탄소배출이 적고 신재생 에너지보다 수급 안정성이 더 뛰어나 안성맞춤인 에너지원이라는 것이다.

다만 벤처글로벌이 주요 대형 고객사들과 LNG 공급 갈등으로 현재 소송에 놓여있는 점은 향후 외연을 확장하는 데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태영 기자

최신기사

북한 비트코인 보유 세계 3위? 해킹 뒤 11억4천만 달러 규모 보유 주장 나와
조주완 지난해 LG전자서 보수 29.9억 받아, 임직원 평균 급여 1억1700만
OECD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대폭 하향, 2.1%에서 1.5%로 0.6%p 내려
서울대 의대 교수 4인 '복귀 반대' 전공의 비판, "내 가족이 이들에게 치료받을까 두..
저축은행중앙회장 후보로 오화경 정진수 등록, 모두 업계 출신으로 관료 없어
중국 검색포털 바이두 AI 모델 2종 출시, "딥시크와 같은 성능에 가격은 절반"
유뱅크 컨소시엄 '제4인터넷은행' 신청 연기, "하반기 예비인가 신청 추진"
상상인증권 "현대백화점 지누스 턴어라운드, 백화점과 면세점도 실적 개선"
GC녹십자 독감 백신 미국 조류독감 리스크 없지만, mRNA 기술 확보 매진
이정애 LG생활건강서 작년 보수 17.5억 받아, 전년보다 24.7% 증가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