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시장조사기관 "2025년 올레드 재료 시장규모 30억 달러에 이를 것"

김바램 기자 wish@businesspost.co.kr 2023-04-12 16:23:0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올레드(OLED) 재료 시장 규모가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12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2025년 올레드 재료 시장규모가 3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시장조사기관 "2025년 올레드 재료 시장규모 30억 달러에 이를 것"
▲ 12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레드(OLED) 재료의 시장규모가 2025년 3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사진은 올레드(OLED) 패널의 구조. <삼성디스플레이>

2022년 올레드 재료의 시장규모는 2021년보다 30% 성장한 22억3천만 달러였다.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한 올레드 패널이 다른 IT기기로 시장을 확산하면서 점차 올레드 재료의 시장규모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모바일 올레드 폼팩터는 폴더블(접는) 스마트폰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정보기술(IT)과 자동차 전장으로 확장돼 올레드 재료 수요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레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종으로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질로 이미지를 표현한다. LCD(액정표시장치) 패널보다 선명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트렌드포스는 “기술 발전과 함께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올레드가 차지하는 영역도 확장되겠지만 더 많은 중국 제조업체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단가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바램 기자

최신기사

이재명 재일동포 특별메시지, "피 땀 눈물 잊지 않을 것" "실질적 지원 확대"
도착 공항 안내 없이 인천서 김포로 바꾼 에어아시아, "안전상 이유로 회항"
'김건희 집사' 김예성 영장실질심사 시작, 이르면 15일 밤 구속될지 결정
광화문서 이재명 대통령 '국민임명식', '국민 대표' 80명이 임명장 전달
[한국갤럽] 이재명 지지율 59%, '특별사면' 영향에 한 달 만에 5%p 하락
'새 박사' 윤무부 경희대 명예교수 별세, 향년 84세
일본 총리 이시바 패전 추도사서 13년 만에 '반성', "전쟁의 반성 깊이 새겨야"
이재명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 "북한 체제 존중" "일본은 중요한 동반자"
비트코인 1억6545만 원대 하락,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상승 영향
삼성전자 소액주주 올해 들어 소폭 감소, 1명당 평균 4738만 원어치 보유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