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사회

작년 전국 땅값 3.92% 올라, 2012년 이후 7년 만에 상승폭 둔화

이한재 기자 piekielny@businesspost.co.kr 2020-01-27 16:01:0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작년 전국 땅값 3.92% 올라, 2012년 이후 7년 만에 상승폭 둔화
▲ <국토교통부>
지난해 전국 땅값이 3.9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이후 7년 만에 상승폭이 둔화했다.

27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2019년 연간 전국 지가 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전국 땅값은 3.92% 올랐다. 2018년 4.58%보다 0.66%포인트 하락했다.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은 2011년 1.17%에서 2012년 0.96%로 떨어진 뒤 2013년 1.14%, 2014년 1.96%, 2015년 2.40%, 2016년 2.70%, 2017년 3.88%, 2018년 4.58% 등 매년 상승폭을 키웠는데 7년 만에 상승폭이 둔화했다.

지난해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확대 적용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강화하며 땅값 역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지가 변동률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과 지방의 지가 변동률은 각각 4.74%와 2.51%로 2018년보다 0.40%포인트, 1.14%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서울 5.29%, 경기 4.29%, 인천 4.03% 순서로 나타났다.

지방은 세종이 4.95%로 가장 높았고 광주가 4.77%, 대구가 4.55%, 대전이 4.25%로 뒤를 이었다.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전국에서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기 하남시(6,90%)로 나타났다.

경기 하남시는 3기 신도시와 감일지구 조성, 지하철 3호선과 5호선 연장 등 개발 호재에 따라 땅값이 많이 뛴 것으로 파악됐다.

도시정비사업 기대감이 큰 대구 수성구(6.53%), 각종 개발사업 호재를 지닌 경기 과천시(6.32%), SK하이닉스 반도체클러스터 조성 기대감을 품은 경기 용인시 처인구(6.20%), 울릉공항 개발사업을 앞둔 경북 울릉군(6.07%) 등도 땅값이 많이 오른 지역으로 꼽혔다.

서울에서는 강남구(6.05%), 성동구(5.88%), 용산구(5.86%), 강동구(5.70%) 순서로 땅값이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강남구는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와 광역복합환승센터 및 영동대로 일대 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기대감, 성동구는 지식산업센터 개발 수요 및 카페거리 인근 토지의 투자 수요 확대 등에 따라 지난해 땅값이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땅값이 가장 많이 내린 곳은 산업경기 침체와 수출여건 악화로 산업체가 감소한 경남 창원 성산구(-1.99%)로 나타났다. 비슷한 이유로 경남 창원 의창구(-1.90%)도 지가가 크게 내렸다.

조선업 침체가 길어져 상권이 흔들리고 있는 울산 동구(-1.85%), 제2공항 개발사업 진행이 부진한 제주 서귀포시(-1.81%), 오라관광단지 등 지역 개발사업 진행이 부진한 제주 제주시(-1.74%) 등도 지난해 땅값이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거래량은 약 290만2천 필지(1869.6㎢, 서울 면적의 약 3.1배)로 2018년보다 약 8.9%(28만3894필지) 줄었다.

지난해 토지 토지 거래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17개 시·도 가운데 대전(11.3%), 대구(7.3%), 부산(3.4%), 인천(2.9%), 울산(2.8%) 등 5곳은 늘었고 나머지 12개 시·도는 감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최신기사

태광산업 4700억에 애경산업 최종 인수 계약, 애경그룹에 2115억 대여 결정
[20일 오!정말] 민주당 김병기 "윤석열에 대한 맹종, 극우정치에 대한 광신"
[여론조사꽃] 정당지지도 민주당 53.9% 국민의힘 26.9%, 격차 두 배 이상 벌어져
민주당 이강일 '금산분리' 완화 주장, "금산분리 규제가 코스피 5000 방해"
산업은행 박상진의 매운 국감 신고식, '명륜진사갈비 부당대출 의혹'에 진땀
BYD CATL 알리바바 미국 관세에 반사이익 전망, 골드만삭스 "수출 다변화"
중국 희토류 자석 9월 수출량 다시 감소, 통제 강화 앞두고 공급망 '불안 신호'
[현장] 전력망 국제 심포지엄, "한국 에너지 전환 성공하려면 독일 참고해야"
유한양행 '렉라자' 성장 기대치보다 더뎌, 조욱제 병용약물 SC제형 미국 승인 기대
[재계인사 스피드업②] CJ그룹 이재현 시선 '글로벌'에 꽂혔다, '안정 속 변화'로 ..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