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특징주

"디스플레이산업 투자 효율성 낮아, 올레드가 돌파구 될지도 의문"

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 2020-05-27 10:39:4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디스플레이산업의 투자 대비 성과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LCD에 이어 올레드(OLED) 분야 주도권도 중국에 넘어갈 수 있어 디스플레이산업을 신중하게 봐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디스플레이산업 투자 효율성 낮아, 올레드가 돌파구 될지도 의문"
▲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정호영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효율성이 지나치게 낮아 주식 투자매력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며 “디스플레이산업에 보수적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의 투자규모 대비 경영성과 개선 정도가 반도체 산업보다 낮다고 지적했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 동안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는 104조 원을 투자해 563조 원의 매출을 내고 31조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177조 원을 투자해 매출 708조 원, 영업이익 214조 원을 냈다.

디스플레이 두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5.5%, 투자 대비 영업이익 회수율은 29.8%에 그쳤다. 반도체 영업이익률 30.2%, 영업이익 회수율 121%를 크게 밑돈다.

이 연구원은 “중국과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견고한 성과 폭넓은 해자를 구축하는 것만이 해법”이라면서도 “올레드가 한국 디스플레이를 구할 견고한 성이 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중소형 올레드는 삼성디스플레이, 대형 올레드는 LG디스플레이가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초기 수익성이 너무 낮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에 힘입어 LCD 지배력이 중국으로 넘어간 것과 같은 일이 올레드에서도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정부는 2018~2019년에 BOE, CSOT, 비전옥스 등 주요 업체들의 신규 올레드공장마다 22억~32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 연구원은 “공격적 올레드 투자는 중국 국가 발전계획에 따라 지속될 전망”이라며 “중국의 인해전술이 올레드산업을 아주 피곤하게 만들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최신기사

[오늘의 주목주] '배당소득 분리과세 완화' 기대감 삼성물산 4%대 상승, 코스닥 실리..
상상인증권 "펌텍코리아 아직 보여줄 것이 많다, 현 주가와의 괴리율 15% 이상"
현대백화점 3분기 영업이익 롯데·신세계 추월, 정지영 올해 '장사왕' 타이틀 움켜쥐나
두산 3분기 영업이익 2313억 109.9% 증가, 전자부품 등 자체사업 영업익 108..
상상인증권 "신세계 기다렸던 하반기 시작, 공항 면세점 고정비 압박도 완화"
[BP금융포럼 in 하노이 에필로그⑧] [인터뷰] 주한베트남대사 부 호 "베트남은 문을..
코스피 기관 매수 힘입어 4070선 상승 마감, 외국인 6거래일 연속 순매도
대작 GTA6 또 연기에 펄어비스 '붉은 사막' 환호, 김대일 '무주공산'에 흥행 깃발..
넥스트레이드 대표 김학수 연임, "더 성장하는 '넥스트레이드 2.0' 만들 것"
HD현대중 '올해도 수주목표 초과' 삼성중 '올해도 목표미달', 이상균-최성안 부회장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