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정치

국민 56% "미세먼지 준다면 전기요금 인상돼도 석탄발전 중단 찬성"

김수연 기자 ksy@businesspost.co.kr 2019-11-17 18:01:5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전기요금 인상을 감수하고라도 석탄화력발전을 멈추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기후환경회의’와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미세먼지 관련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 56% "미세먼지 준다면 전기요금 인상돼도 석탄발전 중단 찬성"
▲ '미세먼지줄이기나부터시민행동'이 3월15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닐슨컴퍼니코리아에 의뢰해 10월29일부터 11월6일까지 진행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소를 겨울철에 9~14기, 봄철에 22~27기 가동을 멈추는 방안에 응답자의 69%가 찬성했다.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을 중단하고 월 전기요금을 1200원 인상하는 방안에는 55.7%가 찬성했다. 전기요금 인상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0.9%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78.3%는 미세먼지가 심각한 12~3월 계절 관리제를 시행하는 데 찬성했다. 계절 관리제는 미세먼지가 고농도인 계절에 평상시보다 강화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시행하는 제도를 말한다.

미세먼지를 많이 내뿜는 5등급 차량을 도심에서 운행하는 데 제한을 가하는 방안에도 응답자의 73.5%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국제협력 정책에는 ‘불만족한다’는 의견이 38.4%로 가장 많았다. ‘보통’이라는 대답이 37.8%, ‘잘하고 있다’는 의견은 20.8%에 그쳤다.

응답자 40.3%는 국제협력 방안으로 ‘양자·다자간 협력, 국제협약 체결 등 외교적 해결’을 꼽았다.

다른 해결책으로는 ‘해당 국가에 미세먼지 저감 강력 요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34.5%, ‘국내 미세먼지 우선 개선’이 17%, ‘해당국 상대로 국제소송 진행’이 8.2%였다.

응답자 78.4%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빠른 경제발전’보다 ‘환경과 미래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발전’이 더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빠른 경제발전’을 고른 응답자는 14.6%였다.

전력 생산 에너지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재생에너지를 고른 응답자가 57.8%로 가장 많았다. 원자력은 22.9%, 천연가스는 17.3%, 석탄은 2%의 응답자가 선호했다.

국가기후환경회의가 제안한 중장기 과제 가운데 어떤 과제에 찬성하느냐는 질문에는 78.4%가 ‘동북아시아 다자 사이 협력’을 골랐다.

중복응답이 허용된 이 질문에 73.1%가 ‘통합 연구기관 설치’, 72.8%는 ‘석탄발전소 감축’, 60.3%는 ‘경유차 혜택 폐지’, 59%는 ‘내연기관차 생산 축소’, 47.3%는 ‘전기요금 합리화’를 선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

최신기사

HMM 2조 규모 자사주 매입 마쳐, 산은·해진공 9천억씩 회수
LG전자 만 50세 이상·저성과자에 희망퇴직 실시, TV 이어 모든 사업부로 확대
조희대 "이 대통령 사건 놓고 한덕수 포함해 외부 누구와도 논의 안 했다"
효성그룹 조현준 회장 세 자녀, HS효성 지분 모두 처분
금융위 제4인뱅 예비인가 모두 불허, '유력 후보' 소호은행 "대주주 자본력 미흡" 평가
신라면세점 신세계면세점 '선택의 시간',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유지할까 싸울까 포기할까
코스피 '숨고르기' 3410선 하락 마감, 코스닥도 840선 내려
법무부 장관 정성호 "검찰 '이화영 술자리 회유' 의혹 사실인 정황 확인"
코스콤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 사장직속 전담 TF도 설치
이재용 삼성디스플레이 충남 아산 사업장 점검, 현장경영 행보 이어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