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공기업

김명중, 캐릭터 '펭수' 인기 업고 콘텐츠사업으로 EBS 적자탈출 시동

이규연 기자 nuevacarta@businesspost.co.kr 2019-11-08 16:59:4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김명중 EBS 사장이 인기 캐릭터 ‘펭수’를 활용한 콘텐츠사업에 시동을 걸고 있다.

이를 통해 EBS 재정적자 해소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힘쓸 것으로 전망된다.  
 
김명중, 캐릭터 '펭수' 인기 업고 콘텐츠사업으로 EBS 적자탈출 시동
▲ 김명중 EBS 사장.

8일 EBS에 따르면 EBS는 펭수 굿즈를 2019년 안에 출시할 계획을 세웠다. 굿즈는 특정 인물이나 브랜드, 캐릭터를 활용한 기획상품을 말한다. 

EBS는 유튜브방송과 콜라보(협업)에 이어 자체 제작한 굿즈를 내놓으면서 펭수의 수익원을 다변화할 채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펭수는 EBS 방송과 유튜브채널 ‘자이언트펭TV’에 나오는 펭귄 캐릭터다. 김 사장을 ‘김명중’으로 지칭하는 등 거침없고 당돌한 탈권위적 태도로 20~30대의 인기를 끌고 있다.

유튜브 채널인 자이언트 펭TV 구독자 수는 8일 기준으로 45만8천 명을 넘어섰다. 5일 40만 명을 돌파한 점을 고려하면 사흘 만에 5만 명이 늘어났다. 

EBS는 자이언트펭TV의 유튜브 수익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웹사이트 ‘녹스인퓰런서’에 따르면 자이언트펭TV의 매달 평균수입은 광고·제휴를 합쳐 7357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인터넷서점 예스24와 알라딘에서 펭수의 한정 굿즈를 내놓는 등 콜라보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펭수가 언급한 참치캔 등이 화제에 오르면서 관련 광고를 찍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EBS는 펭수를 활용한 구체적 사업계획을 공개하지 않았다. EBS 관계자는 “현재 확정된 부분이 없다”며 “11월 중순은 되어야 알릴 수 있는 내용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펭수는 EBS 내부에서 만들어진 캐릭터로 관련 매출은 고스란히 EBS의 수익이 된다. 이 때문에 EBS가 펭수를 통한 새 수익원 확보에 적극 나설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김 사장도 10월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펭수의 기획안을 봤을 때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며 “인기가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말했다. 
 
김명중, 캐릭터 '펭수' 인기 업고 콘텐츠사업으로 EBS 적자탈출 시동
▲ EBS의 자체 제작 캐릭터 '펭수'. < 자이언트펭TV >

EBS는 2018년에 영업손실 1237억 원을 봤다. 2016년부터 3년 연속으로 적자를 본 데다 2017년 565억 원에서 손실폭이 2배 이상 커졌다.  
 
김 사장은 EBS의 재정위기에 대응해 콘텐츠 강화를 추진해 왔다. 3월 취임했을 때도 “교육 분야 이외에서도 수익성을 확보할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 본인도 콘텐츠 전문성을 갖췄다. 그는 취임 전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일하면서 호남대 문화콘텐츠사업단 단장도 역임했다.

이를 고려하면 김 사장은 앞으로 펭수를 활용한 캐릭터 라이선스나 프로그램 제작·수출 등으로 사업범위를 넓힐 것으로 예상된다.

EBS가 2000년에 만들어진 자체 제작 캐릭터 ‘번개맨’을 활용해 뮤지컬 제작과 프로그램 수출에 성공한 전례도 있다. 

김 사장이 펭수의 성공모델을 다른 캐릭터에 적용해 콘텐츠사업 전반을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 EBS는 10월 번개맨의 유튜브채널 ‘번개맨 파워TV’를 개설해 여러 동영상을 올리고 있다. 

콘텐츠업계 관계자는 “국내 캐릭터산업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데다 캐릭터를 활용한 ‘원소스 멀티유즈’ 전략도 보편화되고 있다”며 “펭수가 현재 가장 주목받는 캐릭터인 점을 고려하면 EBS에서도 관련 사업을 확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국내 캐릭터산업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11조573억 원으로 집계돼 2005년 2조7천억 원에서 10여 년 만에 5배가량 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신기사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재판소원은 추후 지도부 발의
하나증권 "네오위즈 2025년 영업이익 620억 전망, 다방면에서 긍정적"
금융정책 컨트롤타워 금융위 이억원, 10.15 부동산대책 '내로남불' 집중포화
세계 1위 거래소 바이낸스 한국 진입 임박, 가상자산시장 규제 완화 촉매 될 듯
애플 'OLED 터치스크린 맥북' 내년 출시 유력,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IT OLED..
두산건설 '청약 핫플' 청주 겨냥, 이정환 연임 첫해 데이터경영 성패 가늠자
커피빈 '비는 곳간에 장사 없다', 지속된 수익성 악화로 멤버십 혜택 많이 축소
한미 관세협상 타결하고 북미 정상회담 성사될까, 경주 APEC '최고의 시나리오' 기대..
SK쉴더스 해커에게 경고 2차례 받고도 사고 인지 못해, 24GB 보안정보 유출
HD현대 정기선 승진 때마다 건설기계 강화 의지, 매출 2배 향해 글로벌 영업 '집중'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