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민주화운동의 거목' 문동환 목사 별세, 향년 98세

김남형 기자 knh@businesspost.co.kr 2019-03-10 17:20:0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고 문익환 목사의 동생으로 민주화운동을 벌여온 문동환 목사가 9일 오후 세상을 떠났다. 향년 98세.

고인은 일제강점기이던 1921년 5월5일 북간도 명동촌에서 독립신문 기자로 일했던 부친 문재린 목사와 여성운동가였던 김신묵의 3남2녀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
 
'민주화운동의 거목' 문동환 목사 별세, 향년 98세
▲ 문동환 목사.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였던 김약연 목사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938년 은진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신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했다.

광복 뒤 1947년 서울의 조선신학교를 졸업하고 1951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웨스턴 신학교, 프린스턴 신학교를 거쳐 하트퍼드 신학대학에서 종교 교육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1년 한국에 돌아와 모교인 한국신학대학 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1961년 12월 미국 유학에서 만난 헤리엇 페이 핀치백씨와 결혼했다.

고인은 이승만 전 대통령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으로 이어진 독재정권의 부조리함을 교육현장에서 알리는 데 앞장섰다. 

1976년 명동성당에서 ‘3.1 민주구국선언문’ 사건으로 투옥돼 2년가량 복역했다. 석방된 뒤에는 동일방직과 와이에이치(YH) 노조원의 투쟁을 지원하다 다시 투옥되기도 했다.

1979년 유신정권이 막을 내린 뒤 한신대 교수로 복직했으나 전두환 신군부가 들어서며 다시 해직돼 미국으로 망명을 떠났다. 미국에서 한국의 민주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다가 1985년 귀국해 한신대 교수에 복직했다.

1986년 한신대에서 정년퇴임을 한 뒤 재야에서 민주화 활동을 하다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민주화운동을 했던 젊은 청년 활동가들을 이끌고 평화민주당에 입당했다. 평화민주통일연구회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1988년에는 전국구 의원으로 평화민주당 수석부총재를 지냈고 국회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아들 문창근씨 문태근씨, 딸 문영혜씨 문영미 이한열기념관 학예실장 등이 있다. 영화배우 문성근씨가 조카다.

빈소는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12일 오전 8시, 장지는 마석 모란공원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최신기사

한화오션 미국 밀착에 중국 '제재의 잽' 날려, 전략에 강한 김희철 리스크 관리 역량 ..
중추신경계 약품 라이벌 환인제약 명인제약, 이광식 이행명 지배력과 경영승계는 달랐다
환인제약 외국계 펀드와 경영권 분쟁의 산물 자사주 13%, 이광식 상법 개정 추진에 딜레마
이원범 환인제약 경영수업 20년 만에 최대주주에, 수익성과 신약개발 부진 돌파할 장벽 많다
[채널Who] '고교학점제'와 '4세 7세 고시'가 던진 의문, 공교육과 사교육 경계는..
우주항공청 출범 후 첫 ADEX 2025 참가, 발사체 포함 우주 기술 선보여
LIG넥스원 방위·항공우주 전시회 'ADEX 2025' 참석, 전자전기 형상 첫 공개
'방산협력 특사' 강훈식 유럽 출국, "K방산 4대 강국 위해 모든 노력 다할 것"
엔비디아 젠슨 황 APEC 기간 한국 방문, 28~31일 CEO 서밋서 비전 공유
이재용·최태원·정의선·구광모·김동관, 트럼프와 7시간 '골프 회동'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