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전문직·경력직 채용포털 비즈니스피플(www.businesspeople.co.kr)이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의 최근 임원인사 동향을 요약해 정리했다.
◆ 100대그룹
▲ 김성수 카카오M 대표이사.
△카카오M 대표이사 김성수
카카오가 김성수 전 CJENM 대표이사를 카카오M 신임 대표로 영입했다. 김 대표는 콘텐츠 산업의 저변을 확대한 대표적 전문경영인으로 꼽힌다. 고려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 학사학위와 신문방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투니버스 방송본부장과 오리온시네마네트워크 대표이사, 온미디어 대표이사 부사장, CJE&M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이랜드재단 이사장 박성경
이랜드그룹은 박성경 이랜드그룹 부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이랜드재단 이사장을 맡는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이랜드 창업주인 박성수 회장의 동생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섬유예술학과를 졸업한 뒤 1984년 이랜드에 디자이너로 입사했다. 여성복사업부와 생산총괄사업부 대표를 거쳐 제롤라모 대표, 이랜드월드 대표 및 디자인총괄 등을 역임했다. 2006년부터 이랜드그룹의 부회장을 맡아 그룹 대외활동을 담당했다.
△이랜드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 최종양
이랜드그룹이 최종양 이랜드리테일 대표이사 사장을 부회장으로 선임했다. 최 부회장은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이랜드에 입사해 구매·생산 총괄본부장과 이랜드중국 대표이사, 뉴코아 대표이사, 이랜드중국 총괄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2018년 이랜드리테일 대표이사에 올랐다.
△이랜드월드 대표이사 부회장 김일규
이랜드그룹이 김일규 이랜드월드 대표이사 사장을 부회장으로 선임했다. 김 부회장은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1984년 이랜드에 입사했다. 이랜드영국 대표이사와 이랜드미국 대표이사, 이랜드월드 전략기획실장, 이랜드파크 대표이사 등을 거쳐 2018년 이랜드월드 대표이사 겸 커뮤니케이션 총괄을 역임했다.
△이랜드파크 대표이사 사장 김현수
이랜드그룹이 김현수 이랜드파크 대표이사 전무를 사장으로 선임했다. 김 사장은 서울대학교를 나와 1988년 이랜드에 입사했다. 이랜드 아동사업 대표이사와 이랜드리테일 하이퍼마켓 본부장, 이랜드중국 전략기획실장 등을 지냈다. 2018년 이랜드파크 대표이사에 올랐다.
△이랜드동남아 총괄 대표이사 사장 이은홍
이랜드그룹이 이은홍 이랜드베트남 대표를 사장으로 선임했다. 이 사장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 이랜드에 입사했다. 이랜드스리랑카 대표이사와 이랜드월드 전략기획실장, 이랜드아시아홀딩스 대표이사, 이랜드베트남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2018년 이랜드동남아 총괄 대표에 올랐다.
◆ 중견·중소기업
△퍼시스 회장 이종태
퍼시스그룹이 이종태 대표이사 부회장을 신임 회장으로 선임했다. 이 회장은 1985년 퍼시스에 입사해 2009년 대표이사에 올랐다. 한국가구산업협회 고문이사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부회장, 서울상공회의소 상임의원,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부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보령제약 사장 이삼수
보령제약이 이삼수 생산본부장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 이삼수 사장은 서울대학교 제약학과와 약학대학원을 졸업했다. LG화학과 CJ제약, 셀트리온제약 등을 거쳐 2013년 보령제약에 입사했다. 2018년 10월 연구·생산부문 대표에 선임됐다.
△보령메디앙스 부사장 이훈규
보령메디앙스가 이훈규 보령메디앙스 대표이사를 부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 이 대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2006년부터 보령제약그룹에서 전략기획실장으로 근무했으며 2015년에는 정보통신기술 계열사인 BR네트콤 대표이사에 올랐다. 2018년 3월부터 보령메디앙스 대표이사를 맡아 일하고 있다.
△스마일게이트홀딩스 대표이사 성준호
스마일게이트그룹이 성준호 스마일게이트메가랩 및 엔터테인먼트 대표를 지주사인 스마일게이트홀딩스 대표로 선임했다. 성 대표는 서울대학교 토목공학과 출신으로 2000년에 현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의 전신인 MVP창업투자에 입사했다.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의 투자담당 임원을 거쳐 지주사 최고투자책임자(CIO) 및 메가랩 대표를 역임했다. 2017년부터 그룹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겸직했다.
△아프리카TV 대표이사 사장 정찬용
아프리카TV가 정찬용 총괄부사장을 사장 승진과 더불어 대표이사로 선임하며 기존 서수길 대표와 각자대표 체제를 구축했다. 정 대표는 두루넷과 KT테크,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등에서 근무했으며 서수길 대표와 함께 아프리카TV 지주사인 세인트인터내셔널을 설립해 성장을 이끌어왔다.
△하나투어 대표이사 사장 김진국
하나투어가 김진국 대표이사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 김 대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2004년 하나투어 전략기획실에 입사해 글로벌경영관리본부장 이사와 전무를 거쳤으며 2016년 대표이사에 올랐다.
△한컴MDS 사장 우준석
한글과컴퓨터그룹이 우준석 한컴MDS 부사장을 임베디드사업총괄 사장에 선임했다. 우 사장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LG전자와 새롬기술에서 근무한 뒤 2003년 한컴MDS의 전신인 MDS테크놀로지에 합류했다. 사업총괄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거쳐 2017년 부사장에 올랐다.
△코스맥스비티아이 부사장 이병만
코스맥스그룹이 이병만 코스맥스비티아이 전무를 신임 부사장으로 선임했다. 이 부사장은 이경수 코스맥스그룹 회장의 장남으로 홍익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 코스맥스에 입사했다. 화성공장 부공장장과 코스맥스차이나 마케팅 상무, 경영지원본부 상무 이사 등을 거쳤으며 현재 코스맥스비티아이에서 해외사업과 기획조정실을 총괄하고 있다.
△뉴트리바이오텍 부사장 이병주
코스맥스그룹이 이병주 뉴트리바이오텍 전무를 새 부사장으로 선임했다. 이 부사장은 이경수 코스맥스그룹 회장의 차남으로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MBA)를 받았으며 외국계 컨설팅회사와 로레알재팬 등에서 근무했다. 2008년 코스맥스에 입사해 경영지원본부 이사를 거쳤으며 현재 뉴트리바이오텍 미국법인 대표로 재직 중이다.
△남양유업 대표이사 직무대행 이광범
남양유업이 이광범 상무를 대표이사 직무대행으로 선임했다. 이 대표는 충북대학교 농생물학과를 졸업하고 2015년 남양유업에 입사했다. 현재 영업총괄본부장 겸 경영지원본부장으로 일한다.
△GC녹십자 상무 이지은
GC녹십자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출신 이지은 박사를 상무로 영입했다. 이 상무는 서울대학교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타대학교에서 약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FDA에서 신약 임상승인 및 품목 허가 관련 심사관으로 일했다.
◆ 글로벌기업
△노키아코리아 대표이사 안태호
노키아가 안태호 노키아코리아 사업총괄 부사장을 한국지사 대표로 선임했다. 안 대표는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에서 전자공학 석사를 받았다. 노키아에서 10년 이상 재직하며 전략과 영업, 사업 개발 분야를 맡았다. 이번 인사로 안 대표는 노키아코리아 최초의 한국인 지사장이 됐다.
△아쿠쉬네트코리아 대표이사 최인용
글로벌 골프 전문기업 아쿠쉬네트의 한국지사인 아쿠쉬네트코리아가 최인용 상무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최 대표는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컴퓨터를 전공하고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MBA)를 받았다. 2006년 아쿠쉬네트코리아에 입사해 리더십팀장과 타이틀리스트 퍼포먼스센터 본부장 등을 거쳐 브랜드 디렉터를 역임했다.
◆ 금융부문
△우리종합금융 대표이사 조운행
우리종합금융이 조운행 전 우리은행 부행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조 대표는 경희대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우리은행의 전신인 상업은행에 입사했다. 전략기획부장과 경기북부영업본부장, 업무지원단 상무, 기관그룹 집행부행장, 영업지원부문장 등을 지냈다.
△DGB자산운용 대표이사 강면욱
DGB자산운용이 강면욱 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CIO)을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강 대표 내정자는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국민투자신탁과 슈로더투자신탁운용, 신한BNP파리바투자신탁운용 등에서 일했으며 ABN암로자산운용 한국대표와 메리츠자산운용 대표이사를 지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연금공단 최고정보관리자(CIO)로 재직했다.
△유진투자선물 대표이사 이수구
유진투자선물이 이수구 영업본부장을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이 대표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1993년 CJ에 입사했으며 1995년에 유진투자선물의 전신인 제일선물로 자리를 옮겼다. 23년 동안 근무하며 마케팅팀장과 경영관리팀장, FX마진팀장, 영업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대표이사 양정원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양정원 마케팅총괄 전무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양 대표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생명에서 일하다가 1999년 삼성자산운용의 전신인 삼성투신운용으로 옮겼다. 투자풀운용팀장과 RM팀장, 주신운용총괄, 기금운용총괄 등을 지냈다.
△MBK파트너스 대표 박태현
MBK파트너스가 박태현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선임했다. 박 대표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에서 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인수합병 전문 변호사로 근무했으며 2011년 MBK파트너스로 자리를 옮겼다.
△하나금융지주 부사장 이승열
하나금융지주가 이승열 KEB하나은행 전무를 그룹 재무총괄 부사장에 선임했다. 이 부사장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외환은행에 입사해 재무기획부 팀장과 전략기획부장, 경영기획부장 등을 거쳤으며 KEB하나은행 통합 출범 후 경영기획그룹장을 역임했다.
△KDB산업은행 수석부행장 성주영
KDB산업은행이 성주영 부행장을 수석부행장에 선임했다. 성 수석부행장은 서울시립대학교 회계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 산업은행에 입사했다. 2015년 창조기술금융부문장에 선임돼 벤처기업 투자유치 플랫폼인 'KDB넥스트라운드'를 출범했다. 기업금융부문장 겸 구조조정부문장으로 일했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 송준상, 상임이사 채남기
한국거래소가 송준상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을 시장감시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송 위원장은 서울대학교에서 불문학 학사와 정책학 석사, 미국 오레곤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가천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를 받았다. 농림식품부 녹색성장정책관과 국무조정실 재정금융기후정책관,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등을 지냈다. 채남기 경영지원본부 본부장보 상무가 신임 상임이사로 선임됐다. 채 상임이사는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MBA)를 받았다. 거래소에서 유가증권시장본부 주식매매제도팀장과 주식기장부장, 경영지원본부 전략기획부장, 코스닥시장본부 본부장보 등을 역임했다.
△한국신용정보원 전무 홍건기
한국신용정보원이 홍건기 은행연합회 상무를 신임 전무로 선임했다. 홍 전무는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은행연합회에서 신용정보부장과 감사실장, 총무부장 등을 지냈다. 홍 전무는 공석인 신용정보원장 직무대행도 겸임한다.
△은행연합회 상무이사 이경희
은행연합회가 이경희 홍보실장을 상무이사로 선임했다. 이 상무는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은행연합회에서 서무회계팀장, 감사실장, 홍보실장 등을 역임했다. 이 상무는 은행연합회 사상 두 번째 여성임원이 됐다.
◆ 공공부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획이사 김초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김초일 전 보건산업진흥본부장을 기획이사로 선임했다. 김 기획이사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를,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마운트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조교수와 한국식품위생연구원 팀장으로 일했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영양정책지원센터장과 건강보건산업단장, 보건산업진흥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예금보험공사 상임이사 김영길
예금보험공사가 김영길 더불어민주당 수석전문위원을 새 상임이사로 선임했다. 김 이사는 경희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민주정책연구원 미래기획실장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비상임위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 언론·방송계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 회장 김문연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가 김문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를 제2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김 회장은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제일기획과 삼성영상사업단에서 근무했으며 CSTV코리아 대표이사와 디지틀온미디어 대표이사, 중앙방송 대표이사, 동아일보 방송사업본부 전문위원, 디즈니채널코리아 사장 등을 역임했다.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기타
△한국석유화학협회 회장 문동준
한국석유화학협회가 문동준 금호피앤비화학 대표이사를 제20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문 회장은 고려대학교 농업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MBA)를 받았다. 1979년 금호석유화학에 입사해 해외영업팀 부장을 지냈으며 금호미쓰이화학 관리담당 임원, 금호피앤비화학 관리·재무담당임원 등을 거쳤다. 2010년 금호피앤비화학 대표이사에 올랐다.
△한국정보과학회 회장 최종원
한국정보과학회가 최종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를 제34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최 회장은 서울대학교 전자계산기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를 받았다. 1993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정보과학회 정보통신연구회 운영위원과 서울특별시 정보화사업 자문위원, 인터넷협의회 기술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정만기 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을 제17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정 회장은 서울대학교 국민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제10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27회 행정고시로 공직에 입문해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과 청와대 경제수석실 산업통상자원비서관,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등을 지냈다.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회장 정정주
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가 정정주 한양대학교 교수를 제26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정 회장은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남가주대학교에서 전기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종합기술원 수석연구원으로 일했으며 1997년부터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ICROS 제어이론 연구회장과 IFAC 메커트로닉스저널 편집위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총무부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한국로봇학회 회장 이병주
한국로봇학회(KROS)가 이병주 한양대학교 교수를 제16대 회장으로 선임했다. 이 회장은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기계공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한양대 제어계측공학과 및 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존스홉킨스대 방문교수와 한국로봇학회 부회장, 대한의료로봇학회 이사장 등으로 활동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재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