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Is 인물검색

김정겸

충남대학교총장

교육공학자 출신, '대전-세종-충남'을 잇는 초광역권 국립대 통합 총장 역할 맡아 [2025년]

류진

풍산대표이사 회장

넓은 인맥으로 한미 경제협력 가교 역할, K-방산 바람타고 실적 호재 [2025년]

이윤모

볼보자동차코리아대표이사 사장

10년간 8배 매출성장 끌어내, 높은 부채비율·치열한 점유율 경쟁 부담 [2025년]

김인규

아이티켐 대표이사

금융·화학 시야 겸비한 , 생산시설 확충 및 신사업 발굴 주력 [2025년]

윤태영

오스코텍대표이사

항암신약 '렉라자' 기술료 수익 1천억 넘어, 흑자 전환 기대감[2025]

이광희

SC제일은행은행장

글로벌 기업금융 전문가, 수익성 개선 과제 안아 [2025년]

송언석

국민의힘원내대표

경제 관료 출신 친윤계, 2026년 지방선거 승리에 전력 [2025년]

이영준

롯데케미칼첨단소재사업 대표 부사장

소재분야 전문가로 스페셜티 전환 이끌어, 적자난 해소·현금흐름 중심 경영 과제 [2025년]

강진모

아이티센회장

공격적 M&A로 몸집 키워, 금·디지털 전환(DX) 기술 결합에 집중 [2025년]

박종문

삼성증권대표이사 사장

삼성생명 출신 자산운용 베테랑, 발행어음 인가 획득 과제로 [2025년]

정준

쏠리드이사회 의장 겸 공동 대표이사

전자공학자 출신 통신장비 '한우물', 광통신·위성통신 신성장동력 육성 집중 [2025년]

김종일

삼양컴텍대표이사

국방부 출신 삼양화학그룹서 42년간 몸담아, 방탄소재 생산능력 확대 주력 [2025년]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사장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수주 경쟁력 강화, 2030년 세계 1위 CDMO 기업 도약 목표 [2025년]

구자균

LS일렉트릭대표이사 회장

변압기 기술격차로 국내 사업 수주 집중, 해외공급망 강화로 사업저변 넓혀 [2025년]

김동철

동운아나텍대표이사

휴대폰 AF 칩 세계 1위, 신성장동력 헬스케어 사업진출 [2025년]

김태한

BNK경남은행행장

30년 경력 BNK금융 여신전문가, 추락한 신뢰회복·지역상생에 방점 [2025년]

남궁범

에스원대표이사 사장

삼성그룹 대표 재무 전문가, 첨단기술 접목 스마트 보안시장 공략 [2025년]

김영준

노머스대표이사

펀드매니저 출신 실행력 갖춘 전략가, 테크 기반 글로벌 엔터 플랫폼 기업 목표 [2025년]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대표이사

인보사 미국 임상3상 재개 이끈 신약개발 전문가, CDMO 사업 확대 [2025년]

이정선

바이오솔루션대표이사

자체 개발 자가 연골 세포치료제 상용화 기여, 오가노이드 신사업 추진 [2025년]

김정겸
충남대학교총장
1963년

교육공학자 출신, '대전-세종-충남'을 잇는 초광역권 국립대 통합 총장 역할 맡아 [2025년]


김정겸은 충남대학교의 총장이다.

1963년 7월13일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다 충남대학교에 교육학과 교수로 옮겼다.

기초교양교육원장과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단장, 교무처장, AI융합교육연구소장을 거쳐 2024년 총장에 선임됐다.

한국교육학회 부회장과 한국창업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교육공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국립공주대학교와 연합해 글로컬대학30에 선정됨에 따라 ‘대전-세종-충남’을 잇는 초광역권 국립대 통합 총장으로 지역 전략산업과 교육·연구 생태계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김정겸 충남대학교 총장이 2025년 3월19일 '캠퍼스 톡톡톡' 총장과의 대화 행사에서 구성원들과 대학 현안과 발전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충남대>


△‘세계 상위 2% 연구자’에 총 49명 선정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가 2025년 10월 공동 발표한 ‘Top 2% Scientists List(전 세계 상위 2% 연구자)’에 충남대 교수 49이 선정됐다.

스코퍼스(SCOPUS) 기반 논문 수 및 피인용도, H-index, 학문 분야 랭킹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 매년 전 세계 상위 2%의 연구자를 선정한 결과 충남대는 총 49명의 연구자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