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한국 조선사 상반기 세계 발주선박 20% 수주, 중국 이어 2위

차화영 기자 chy@businesspost.co.kr 2020-07-07 18:05:1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 조선업계가 올해 상반기에 세계 발주선박의 20.5%를 수주해 수주실적 2위에 올랐다. 

7일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에 세계에서 발주된 선박 575만 CGT(269척) 가운데 한국 조선사들은 118만 CGT(37척)를 수주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한국 조선사 상반기 세계 발주선박 20% 수주, 중국 이어 2위
▲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도크.

중국이 전체 발주선박의 53.9%인 351만 CGT(145척)을 수주해 1위에 올랐으며 일본이 57만 CGT(36척)을 수주해 한국의 뒤를 따랐다. 

올해 상반기 세계 선박 발주량은 575만 CGT(269척)으로 클락슨리서치가 자료 집계를 시작한 1996년 뒤 가장 적은 수준을 보였다. 

수주금액으로 환산하면 한국이 30억 달러어치를 수주했고 중국이 96억 달러어치를 수주했다.

1척당 수주단가는 한국이 8천만 달러로 중국보다 6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종류별로 살펴보면 올해 1~6월 아프라막스급(운임 효율이 가장 뛰어난 선형) 액체화물운반선은 2019년 상반기보다 19% 증가했다. 수에즈막스급(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선형) 액체화물운반선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과 컨테이너선, 일반화물선(벌커)은 발주량이 줄었다.

상반기 세계 선박 인도량은 1382만 CGT로 2019년 같은 기간보다 21% 감소했다.

6월 세계 조선업계의 수주잔량은 소폭 줄었다. 

세계 수주잔량은 6월 말 기준으로 7077만 CGT로 5월보다 2% 감소했다. 중국의 수주잔량이 2613만 CGT로 가장 많았고 한국이 1976만 CGT, 일본이 954만 CGT로 뒤를 이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

최신기사

DS투자 "대웅제약 믿고 보는 나보타, 뒤를 받쳐주는 펙수클루"
메리츠증권 "한전기술 목표주가 상향, 2026년부터 이익 증가 본격화"
미국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하나증권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주목"
비트코인 1억4745만 원대 상승, 미국 관세정책 완화 기대에 투자심리 회복세
LS증권 "파마리서치 목표주가 상향, 2분기 국내 의료관광 증가로 호실적 예상"
키움증권 "에이피알 목표주가 상향, 하반기 글로벌 채널 성장세 지속"
동국제강그룹 지주사 전환으로 승계 쉽게, 장세주 다음은 동생 장세욱인가 아들 장선익인가
장세주 동국제강 경영 복귀 2년, 회사 분할로 전문성 갖췄지만 수익성은 악전고투
신동원 농심의 신사업 꾸준히 도전, 장남 신상열에게 '농심에 없는 사업' 발굴 맡기다
[씨저널] 동국제강 전기로 강점 살린 저탄소의 길, 최삼영 하이퍼 전기로 상용화 시간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