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후대응
Who Is?
기업·산업
금융
시장·머니
시민·경제
정치·사회
인사이트
JOB+
최신뉴스
검색
검색
닫기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성윤모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위해 7조8천억 투자"
류근영 기자 rky@businesspost.co.kr
2019-08-05 11:09:34
확대
축소
공유하기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와 기술 개발 지원을 추진한다.
성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 브리핑을 통해 “예산과 금융, 세제, 규제특례 등 전방위적으로 국가적 자원과 역량을 총력 투입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며 “이번 대책을 통해 제조업이 새롭게 혁신하고 도약하는 튼튼한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그는 “예비 타당성 면제 등을 통해 신속하게 연구개발(R&D)사업비를 투입하는 등 7년 동안 약 7조8천억 원의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덧붙였다.
32개 공공연구소의 연구역량을 총동원해 기업들의 핵심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연구개발과 관련한 투자전략과 프로세스 혁신 등을 담은 범정부 차원의 계획은 8월 말까지 마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하기로 했다.
정부는 국내에서 단기간 기술 확보가 어려울 때는 인수합병(M&A), 해외기술 도입, 해외기업 국내 유치 등도 병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성 장관은 해외기업 인수합병을 위해 2조5천억 원 이상의 인수합병 금융을 지원하고 인수합병의 법인세 세액공제 등 세제 지원도 추진하기로 했다. 인수합병 지원 협의체도 꾸린다.
정부는 현행 소재·부품 특별법을 시장 요구에 맞게 전면 개편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소재와 부품만 다뤘던 특별법을 장비까지 확대하고 강력한 규제 특례 근거도 신설하기로 했다.
성 장관은 “이번 대책은 최대한 단기간 내에 중요 품목의 공급 안전성을 확보하고 특정 국가의 의존도 탈피와 근본적 경쟁력 확보를 국가적 의제로 추진하겠다는 구체적 실천 선언”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류근영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씨저널
C
스토리
LG에너지솔루션 캐즘과 비자 리스크 '이중고', 김동명 위기 돌파 동력은 '셰르파 경영철학'
삼성SDI 재무 리스크에 증설과 기술력 '선택과 집중', 최주선 '불도저식 결단력' 다시 한 번
SK온 재무와 기술 투톱 대표체제에 담긴 뜻, '혁신 DNA' 이석희 끌고 숫자에 강한' 유정준 밀고
많이 본 기사
1
CNN "삼성전자 두 번 접는 스마트폰 미국에 출시 검토", 폴더블 아이폰 겨냥
2
SK하이닉스 HBM4 엔비디아 최대 공급사 전망, 삼성전자는 속도 우위
3
삼성SDI 재무 리스크에 증설과 기술력 '선택과 집중', 최주선 '불도저식 결단력' 다..
4
모간스탠리 'HBM 공급 과잉' 가능성 경고, 메모리반도체 호황 낙관론 경계
5
[한국갤럽]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국 8%로 1위, 장동혁 7% 정청래·이준석4%
Who Is?
장평순 교원그룹 회장
노점상부터 시작해 판매왕 오른 영업자 출신, 교육에서 토탈라이프케어까지 사업 다각화 [2025년]
김영성 KB자산운용 대표이사 사장
채권운용과 해외투자 전문가, ETF 경쟁력 강화에 방점 [2025년]
이성현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국내 유일 반도체 IP 개발사, 세계 최초 IP 중개 플랫폼 사업 개시 [2025년]
윤재웅 동국대학교 총장
미당 서정주의 마지막 제자, 불교 세계관 기반 창의융합 인재 양성 주력 [2025년]
최신기사
동부건설 민간참여 주택사업 경쟁력 기대감, 정부 정책 타고 공공공사 강점 살릴까
동성제약 이사회 불편한 동거, 기업 회생 일정에도 영향 줄까 '촉각'
'글로벌' '신사업'에 목매는 최준호, 본업 부진에 패션그룹형지 곳간 수위 낮아진다
한화투자증권 장병호 블록체인 플랫폼 착수, 가상자산·인니사업 동시 겨냥한다
엔비디아 인텔 지분 인수로 AI 생태계 '독점' 의지, AMD 브로드컴 정조준
시진핑과 트럼프 '경주 회동' 가능성 급상승, 이재명 APEC '브릿지 외교' 주력할듯
이재명 22∼26일 뉴욕 방문, 한국 정상 첫 안보리 공개토의 주재
한화솔루션 도시개발 몸집 키우기 착착, 김동관 주력 사업 둔화 돌파구 모색
잇단 해킹사고에 위상 커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차기 위원장에 송경희 성대 교수 유력후보..
[초격차 스타트업] 에딘트 대표 원동일 "비전 AI가 교육 현장의 주먹구구식 평가 사라..
댓글 (0)
등록
-
200자
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