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정말] 김기현 “법사위원장이 협치 첫 단추” 김태년 “민주당이 상임위원장 모두 가져야”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왼쪽)과 김태년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오!정말’은 비즈니스포스트가 치권에서 나온 주목할 만한 을 정리한 기사다. 다음은 17일 ‘오!정말’이다.

법사위원장은 여당 몫 vs 전체 독식
“더불어민주당만으로 과반 의석을 훌쩍 넘는 175석을 차지한 이상 법사위원장직은 관례의 문제가 아니라 국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기본이고 협치를 위한 첫 단추다.”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가 페이스북에서 법사위원장직을 야당에 넘겨야 한다고 주장하며)

“국회는 서로 협치하고 의회정치를 복원해야 하는데 법사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야당이 차지하겠다는 것은 폭주하겠다는 선언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초선 지역구 당선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법사위·운영위 독재는 독주라고 규정하며)

“원내대표로서가 아니라 국회의원 홍익표의 개인적인 경험으로 보면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는 민주당이 갖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법사위원회와 운영위원회는 야당의 몫이라고 강조하며)

“이론상으로 보면 168석이 넘어가는 순간 모든 상임위는 그냥 한 당이 다 가져도 된다. 그래도 국회는 돌아간다. 의장은 1당, 법사위는 2당 이렇게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 특정 정당이 모든 상임위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원활한 국회 운영을 위해 상임위 배분을 했던 것이다.” (김태년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민주당의 상임위 독점을 주장하며)

끔찍한 혼종
“진짜 이렇게 인사가 진행된다면 임기 초에는 MB 계열 뉴라이트만 쓰면서 'MB 아바타' 소리 듣더니 이제는 문재인 아바타다. 끔찍한 혼종이다. ”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페이스북에 박영선 전 의원을 국무총리로,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비서실장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설에 대해 비판하며)

“인적쇄신을 하는 데 있어 제한 없이 폭넓게 검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이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박영선 전 의원을 국무총리로,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비서실장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설에 대해 평가하며)

“상당히 진전된 변화라고 생각이 든다. 어떤 결론이 나올지는 모르겠는데 그만큼 야당과 협치를 염두에 둔 그런 검토가 아닌가 생각된다.” (조배숙 국민의미래 당선인이 YTN라디오 뉴스킹에서 박영선 전 의원을 국무총리로,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비서실장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설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대연정’을 시도한 것과 비슷한데, 오히려 급하게 철회해 지지율이 더 떨어졌던 걸 생각해 보면 상대 진영에서 온다고 '1+1'이 되는 건 아닌 것 같다. 1+1이 0이 될 수 있는 걸 생각해 보면 좋은 카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김재섭 국민의힘 도봉갑 당선인이 채널A라디오쇼 정치시그널에서 박영선 전 의원을 국무총리로,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비서실장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설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으며)

이준석의 별의 순간
“2027년 대선 주자의 한 사람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김종인 전 개혁신당 상임고문이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의 미래를 조망하며)

의장 추미애
“제가 대선, 지선, 두 번의 선거를 모두 승리로 이끌었고 처음으로 역사상 당대표 2년 임기를 무사히 마쳤다. 정치력이 충분히 증명됐다고 본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국회의장직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며)

목표는 교섭단체
“저희가 12석의 쇄빙선을 갖췄다고 말씀드리는데, 8석의 쇄빙선을 더 갖추고 싶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에서 교섭단체를 만들고 싶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전국민 25만 원 
“민주당은 선거 때 약속한 민생 회복 지원금(전 국민 1인당 25만 원 지급)을 포함한 민생 회복 긴급 조치를 제안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국민 25만 원 지급을 제안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