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에서 촉발된 '멸공' 논란이 스타벅스 불매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불매운동이 실제 위력을 갖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는 있지만 논란이 지속되면 스타벅스 본사와의 라이선스 계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향후 전개될 상황이 주목된다.
 
스타벅스에 불똥 튄 정용진 '멸공', 라이선스 계약까지 악영향 미치나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12일 유통업계와 프랜차이즈업계에서는 정 부회장의 발언 여파로 국내 소비자들 사이 스타벅스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데 이 영향이 이마트와 미국 스타벅스 본사 사이 맺은 라이선스 계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에서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SCK컴퍼니(옛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는 원래 미국 스타벅스 본사와 신세계그룹의 이마트가 지분을 50%씩 가진 합자회사였다.

지난해 7월27일 이마트가 스타벅스로부터 추가로 지분을 인수하면서 현재는 이마트가 총 67.5%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다. 나머지 32.5%의 지분은 싱가포르투자청(GIC)이 들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체결한 주식매매계약에는 미국 스타벅스 본사가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만약 스타벅스 본사가 이마트의 귀책사유로 라이선스 계약을 해지하게 되면 스타벅스커피 인터내셔널(SCI)이 주식 전부를 인수할 권리를 가지며 스타벅스커피 인터내셔널이 지정한 자에게 인수권을 승계시킬 수 있다. 이때 주식매매가격은 공정한 가치평가방법에 따른 가격에 35% 할인율을 적용하기로 돼 있다.

만에 하나 스타벅스커피 인터내셔널(SCI) 측이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스타벅스 불매운동을 이유로 라이선스 계약을 해지할 경우 이마트의 귀책사유를 따져야 할 상황에 놓일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정 부회장은 1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정용진 보이콧' 이미지를 직접 올리면서 "누가 업무에 참고하란다"고 썼다. 불매운동을 인지하고 ‘멸공’ 관련 발언을 중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하지만 여파는 정 부회장의 의지와 상관없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논란이 정쟁의 도구로 비화됐기 때문이다.

당적과 정치적 성향 모두 관계없이 '멸공'이란 단어가 정치인의 입에 오르내리면 소비자들의 반감은 지속될 수 있다.
 
극우 성향 유튜브 채널인 ‘가로세로연구소’에서 스타벅스 제품 구매를 인증한 것을 두고서도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스타벅스를 이용하기 꺼려진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스타벅스에 불똥 튄 정용진 '멸공', 라이선스 계약까지 악영향 미치나

▲ 한 소비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스타벅스에 관한 의견을 드러내고 있다. <트위터 캡처>

이번 논란은 결국 스타벅스의 브랜드 이미지에도 흠집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정 부회장이 이마트를 통해 운영하는 여러 브랜드 가운데 특히 스타벅스가 불매운동의 표적이 된 것은 이마트 전체 영업이익 가운데 스타벅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는 분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는 지난해 1~3분기 누적 기준 2395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같은 기간 스타벅스의 영업이익은 1818억 원으로 지분법 손익에 따라 이마트 실적에 실제 반영된 이익은 788억 원(33%) 수준이다. 알려진 것보다는 적은 비중이지만 정 부회장으로서는 이를 가볍게 여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 소비자는 '스타벅스 카드를 잘랐다'는 글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렸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쓰였던 이미지에 정용진을 보이콧(불매운동)하겠다는 글을 넣은 이미지가 공유되고 있다.

스타벅스 불매운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될 SCK컴퍼니로서는 난처한 상황이다. 

스타벅스가 직접 제작한 상품(굿즈)은 줄을 서서 살 만큼 ‘팬덤’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팬덤을 형성한 소비자층은 브랜드와 자신의 정체성을 밀접하게 연관시키는 만큼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여기에 13일부터는 커피 가격도 인상돼 소비자들의 불만은 더욱 커질 가능성도 있다.

스타벅스는 국내 출점 이후 2016년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넘어섰고 2021년에는 매출 2조3천억 원을 내며 5년만에 2조 원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정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