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엔비디아 AI칩 금지령, 삼성전자·SK하이닉스 'GDDR7 중국 특수' 물거품 위기
C-journal

글로벌

테슬라 로보택시 사업 리스크 산적   본게임  휴머노이드 위한 징검다리에 그칠 수도
테슬라 로보택시 사업 리스크 산적, '본게임' 휴머노이드 위한 징검다리에 그칠 수도
테슬라가 로봇 기업으로 사업 재편을 노리는 가운데 자율주행 무인택시를 로봇 사업이 자리잡을 때까지 '징검다리' 역할로만 운영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테슬라가 무인택시 선두주자인 구글 웨이모와 비교해 미국 사업 확장 속도가 늦고 안전성에서도 약점을 보여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17일(현지시각)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Y' 차량에 기반한 무인택시는 7월 한 달 동안 3건의 교통사고를 일으켰다.테슬라는 6월22일 텍사스주 오스틴 시내 일부 지역부터 무인택시를 출시했다. 사업에 본격 돌입한 7월부터 10일에 한 번꼴로 사고를 낸 셈이다. 테슬라는 10~20대 수준의 로보텍시를 운영하고 있다.이번 사고 집계로 테슬라의 무인택시 안전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테슬라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사고 정황을 제한적으로만 공개했다.일렉트렉은 "테슬라는 무인택시와 주행보조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한적으로만 공개한다"며 "이렇게 운영되는 회사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이에 더해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해 거액의 배상금을 토해낼 처지에 놓여 있다.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연방법원 배심원단은 8월1일 2019년 벌어졌던 사고와 관련해 테슬라에게 2억4250만 달러(약 3387억 원)를 배상하라고 판결했다.테슬라는 항소할 예정이지만 이 사건 외에도 주행보조 사고 탓에 많은 소송에 시달리고 있다. 무인택시 사업을 확장할수록 리스크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NBC뉴스는 17일 테슬라의 주행보조 기술 약점을 지적하면서 "개발자조차도 오류를 쉽게 설명할 수 없는 구조라 여전히 의문이 든다"고 꼬집었다.이런 상황을 종합해 테슬라에게 무인택시 사업은 로봇 기업으로 변하는 과정의 한 단계에 불과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테슬라의 인간형 2족보행 로봇(휴머노이드) '옵티머스' 사업은 무인택시보다 잠재력이 크고 리스크도 상대적으로 적다.테슬라 모델Y 차량에 기반한 자율주행 무인택시가 6월22일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시내 도로를 달리고 있다. <연합뉴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책임자(CEO)도 1일 자신의 X(옛 트위터)에서 "로봇 사업이 앞으로 테슬라 기업 가치의 80%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는 일론 머스크 CEO가 그린 테슬라 청사진에 무인택시 비중이 크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테슬라는 옵티머스를 자사 전기차 제조 공장에 도입해 인건비를 줄이고 다른 업체에도 판매할 구상을 갖고 있다.실제 농업생명과학 기업 '팜AGRI'는 이번 달 15일 농장 운영과 제약 설비에 투입할 목적으로 옵티머스 3세대 1만 대를 구매할 의향서(LOI)를 테슬라와 체결했다고 발표했다.테슬라 옵티머스 가격은 대당 2만~3만 달러(약 2770만~4156만 원)로 책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테슬라는 이번 한 번의 거래로 최소 2억 달러(약 2772억 원)를 벌어들일 기회를 잡은 셈이다.루이스 센티스 텍사스대학교 교수는 NBC뉴스를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이 달아오른 상태"라며 잠재력이 크다고 시사했다.일론 머스크가 테슬라를 로봇 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무인택시를 징검다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기술 기반이 겹치기 때문이다.테슬라는 무인택시와 로봇 모두 센서 없이 이미지 인식에 기반한 인공지능(AI) 기술에 기초를 두고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이에 옵티머스가 상용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무인택시로 기술을 검증해 로봇에 도입할 수 있다.더구나 미국 무인택시 시장은 선두 주자라 할 수 있는 구글 웨이모의 빠른 사업 확장과 후발주자 아마존 죽스 진입까지 경쟁이 치열하다.그러나 테슬라는 텍사스를 제외한 나머지 주에서는 관련 허가조차 아직 받지 못해 사업 확장 전망이 불투명하다.요컨대 테슬라가 리스크를 안고 무인택시 사업을 계속 확장하는 대신 잠재력이 큰 휴머노이드 사업으로 넘어갈 징금다리로 활용할 가능성이 고개를 든다.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먼트는 9일 로이터를 통해 "테슬라가 로보택시 네트워크를 확장한 뒤 운영을 다른 기업에 넘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이근호 기자

기후에너지

유엔 개도국 기후총회 대표단 지원 늘려   브라질 개최지 숙박난 심각
유엔 개도국 기후총회 대표단 지원 늘려, "브라질 개최지 숙박난 심각"
유엔이 숙박난으로 기후총회 참석이 어려운 개발도상국들을 향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17일(현지시각) 로이터는 유엔이 개도국 144개국을 대상으로 기후총회 참여일비를 기존 144달러에서 197달러로 늘리기로 했다고 보도했다.이는 현재 기후총회 개최지 브라질 벨렝의 숙박난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벨렝은 브라질 북부 파라주의 주도로 인구는 대략 150만 명이다. 아마존강의 지류인 파라강 연안에 있는 항구도시로 브라질 북부의 물류허브 구실을 하고 있으나 관광객 수용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평가됐다.브라질 정부는 올해 11월에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개최지로 지명하면서 갑작스럽게 숙박시설을 늘려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지난 몇 개월 동안 COP30 사무국과 유엔기후변화협약은 벨렝에 최대한 숙소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대표단 모두를 수용할 만한 시설을 마련한 것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숙박시설이 부족해지면서 숙박비가 평시의 10~15배까지 치솟았다.이에 유엔기후변화협약 회원국들은 브라질 측에 COP30 개최를 다른 곳으로 옮기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나 브라질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이번 지원금 인상 대상은 개도국별로 2~3명으로 모두 374명이다.COP30 참여 예상 인원은 약 4만5천 명으로 전망됐다.브라질 정부는 '현재 최저 220달러로 벨렝에 숙소를 예약할 수 있다'는 공식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로이터는 자체 조사 결과 실제 최저 숙박비는 이보다 몇 배 더 높다고 지적했다.숙박난 영향에 COP30 사전 참가 신청도 역대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브라질 정부 발표에 따르면 COP30 개최를 두 달 앞둔 현 시점에 공식 플랫폼 및 기타 수단을 통해 참가 신청을 한 국가는 79개국에 불과하다. 통상적으로 기후총회에는 약 200개국이 참여한다. 손영호 기자

Who Is?

대한민국 파워피플

오늘Who

칼럼인사이트

채널 Who

 카틀라   신체강탈자들의 침입   죽은 자가 살아 돌아온다면
채널Who C-LAB

삼성SDS 내부거래 의존 탈피 시동 걸어, 이준희 차세대 생성형 AI 플랫폼 앞세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