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화학적 결합' 완성에 한 발짝 더, 임종룡 연임에 힘 더할까
우리금융 '화학적 결합' 완성에 한 발짝 더, 임종룡 연임에 힘 더할까
우리은행이 지난 26년 동안 분리됐던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동우회를 마침내 통합하며 우리금융그룹의 오랜 숙원이었던 조직 내 화학적 결합 완성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장과 내부 통합이라는 대내외적 성과를 동시에 일궈내 연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그러나 여전한 내부통제 리스크에다 관료 출신에 대한 안팎의 거부감이 여전해 최종 연임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이라는 관측이 많다.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의 통합 동우회를 공식 출범하며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출신 은행별 계파 문화를 해소할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동우회는 퇴직 직원들의 친목과 상호부조를 위해 만들어진 자율적 모임이다. 1970년대 상업은행, 한일은행에서 각각 설립된 동우회는 1999년 외환위기로 두 은행이 합병된 이후에도 통합되지 않은 채 26년 동안 별도로 운영돼 왔다.현직에서 함께 일하던 직원들이 퇴직 후에는 출신 은행에 따라 다른 동우회로 흩어지는 형태가 지속된 것이다.이에 동우회 통합은 우리은행의 오랜 숙원과제 가운데 하나로 여겨져 왔다.분리된 동우회가 출신 행원 사이 계파 갈등의 상징으로 꼽혔기 때문이다. 계파 갈등은 내부통제 실패와 부적절한 인사 관행 등으로 이어져 우리은행 발전의 근본적 저해요인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특히 우리은행 행장은 그동안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임원이 번갈아 가며 맡는 형태가 관행처럼 이어져 왔다.이런 상황에서 합병 이후 입행한 '통합세대'의 퇴직 시기가 다가오면서 동우회를 하나로 묶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임 회장은 계파 문화와 내부 갈등을 제거하고 조직 내부 화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을 지금껏 기울여 왔다.취임 직후 인사, 조직문화, 내부통제 등을 혁신하기 위해 '기업문화혁신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비공개였던 인사 평가 결과가 공개로 전환된 것도 이 시기에 추진된 조치다.정진완 우리은행장이 임명된 것도 같은 뜻으로 해석된다.정 행장은 한일은행 출신이지만 입사 2년 반 만에 통합을 경험했다. 계파 갈등을 직접 겪었지만 전통적 계파 인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는 평가를 받으며 계파 청산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적임자로 꼽힌다.이 밖에도 임 회장은 동우회 통합을 위해 양측 인사를 여러 번 찾아가 설득하는 등 적극적으로 힘써 왔다. 이에 올해 1월 두 동우회는 통합 추진 업무협약을 맺기에 이르렀다.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26년 동안 분리됐던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의 동우회를 통합하며 오랜 숙원이었던 화학적 결합의 기반을 완성했다. <우리금융그룹>임 회장의 내부 통합 의지는 협약 이후에도 멈추지 않았다. 계파 문화의 뿌리를 뽑기 위한 시스템적 조치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지난 4월에는 인사기록 카드에서 출신 은행 구분을 완전히 삭제했으며, 그 뒤 지난 6월에는 '사조직 결성 금지 가이드라인' 배포하는 등 계파 문화 근절을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약 10개월 동안 통합을 위한 준비 절차를 마친 두 동우회는 마침내 지난 3일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열었다. 이로써 오랜 과제였던 화학적 결합 달성의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임 회장은 지난해 증권사를 합병하고 올해 7월 동양ᐧABL생명 자회사 편입을 완료하며 종합금융그룹 포트폴리오 완성을 이끌었다.그룹 차원의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장 등 외형적 체질 개선에 성공한 데 이어 26년 묵은 임직원의 역사적 통합이라는 내실까지 다지는 성과를 이루며 균형잡힌 리더십을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다만 연임 가도를 장담하기에는 내부통제 리스크와 외풍 가능성이라는 불리한 요소가 여전히 남아있다.금융지주 회장 인선은 정부 의중에 영향을 받은 때가 많았다. 우리금융만 해도 지난 정부 시기 이러한 외풍을 가장 크게 겪었다. 새 정부 출범으로 금융지주 회장 인선에 정치권 및 금융당국의 입김이 상당 부분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임 회장 역시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을 거친 고위 관료 출신으로 금융정책을 총괄한 경력을 갖고 있다. 임 회장부터가 정치권의 외풍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경력을 가진 것이다.해결되지 않은 내부통제 문제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재임 기간 전임 회장이 연루된 대규모 부당대출 사건이 터졌던 데다 우리은행은 지난 8월까지 금융사고 누적액이 1119억 원으로 4대 은행 가운데 가장 많았다. 이는 두 번째로 많았던 하나은행의 572억 원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이다.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0월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 개시했다. 임추위는 약 2개월 동안의 절차를 거쳐 최종 후보자를 선정하게 된다.전해리 기자

인기기사

BP 채용 공고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채용 시 마감
재무관리 담당자
3~15년/학사 이상
써모피셔사이언티픽코리아 채용 시 마감
Field Application Scientist ? Cell Culture & Cell Therapy
8년 이상/석사 이상
금호타이어 D-8
컴파운드개발 담당자
7년 이상/학사 이상
코오롱제약 D-11
품질관리 담당자
정규직/5년 이상/학사 이상
한화시스템 D-25
선박 엔진 제조 PLM/CAD 운영 담당자
5년 이상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39-34 서울숲더스페이스 12층 대표전화 : 1800-6522 팩스 : 070-4015-8658

편집국 : 070-4010-8512 사업본부 : 070-4010-7078

등록번호 : 서울 아 02897 제호 : 비즈니스포스트

등록일: 2013.11.13 발행·편집인 : 강석운 발행일자: 2013년 12월 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석운 ISSN : 2636-171X

Copyright ⓒ BUSINESSPO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