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메모리반도체 전문기업 마이크론의 기술을 도용했다는 혐의를 들어 중국과 대만 반도체기업을 상대로 정부 차원의 법적 대응을 결정했다.
2일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국언론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는 중국 국영 반도체기업인 푸젠진화와 대만 반도체기업 UMC를 기술 도용 혐의로 기소했다. ![]()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중국의 산업스파이 활동을 막기 위해 수사인력도 대거 투입한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푸젠진화와 UMC 관계자들이 D램 등 메모리반도체와 관련된 미국 마이크론의 영업비밀을 빼돌리는 데 가담했다고 밝혔다. 제프 세션스 미국 법무부 장관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국은 2015년에 오바마 정부와 합의해 중국 이익을 위해 미국 기업을 겨냥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마이크론에서 퇴직한 직원이 UMC에 입사한 뒤 마이크론의 다른 직원들을 정보 유출에 가담하도록 유도했다고 주장했다. 이 직원은 푸젠진화로 직장을 옮긴 뒤에 유출한 기술을 활용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 반도체기업의 시장 진출을 우려해 무역 규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최근 푸젠진화가 상무부의 승인 없이 미국 기업으로부터 반도체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사들이지 못하도록 했다. 미국이 정부 차원에서 중화권 반도체기업에 압박을 강화하는 것은 그만큼 중국의 반도체산업 육성을 크게 경계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마이크론은 월스트리트저널을 통해 "그동안 기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원에 이르는 돈을 들였다"며 "법무부의 기소 결정을 환영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