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이 식량사업 확대에 더욱 고삐를 죌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그룹이 지주사체제 전환을 추진하면서 식량사업을 '7대 핵심사업'에 포함하며 중요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글로벌 사업은 해외 여러 나라와 협조를 바탕으로 이뤄지는데 특히 식량사업은 현지 주민들과 직접 맞닥뜨려야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의 정착이 식량사업의 성공적 확장에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식량사업 확대 고삐 죄, ESG경영 중요성 커져

▲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사장.


21일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주요 식량사업인 인도네시아 팜유(야자수기름)사업의 2021년 영업이익은 6300만 달러(약 756억 원)로 전년 1500만 달러보다 320% 급등한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정보회사 FN가이드가 2021년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전체 영업이익을 6036억 원으로 추정한 데 비춰보면 팜유사업이 전체 영업이익의 13%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식량사업은 미얀마 가스전 사업에 이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주요 수익원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포스코그룹 차원에서도 식량사업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12월 지주사체제 전환을 선언하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식량사업을 에너지사업과 함께 그룹의 7대 핵심사업 가운데 하나로 꼽으며 확대 의지를 보였다.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식량사업으로 미얀마 쌀 도정공장과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 인도네시아 팜농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2017년 말 미곡처리장 제1기를 가동했고 2019년에는 공장 제2기를 준공해 연간 8만6천 톤 규모 가공시설을 추가했다. 앞으로 다른 동남아지역으로 미곡종합처리장 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세워뒀다.

우크라이나 흑해 연안에는 2019년 9월 연간 250만 톤 규모의 곡물터미널을 준공했다. 2023년 곡물 트레이딩 1천만 톤 체제를 구축하는 목표도 세웠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11년 팜사업을 시작해 2016년 CPO(야자수기름 원유) 상업생산을 개시한 뒤 2018년 56000톤, 2021년 17만 톤 수준의 생산량을 보이며 고속 성장을 일궈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싱가포르에 팜사업 지주회사를 설립하며 식량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물류 및 금융 허브 싱가포르 현지에 지주회사 ‘유한회사 아그파’를 세우고 현재 본사가 보유한 인도네시아 팜농장의 지분 85%를 지주회사로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분 이전을 마친 뒤 전문인력을 파견해 팜사업의 가치사슬(벨류체인)을 확장하고 합작 투자자 물색 등을 통해 팜사업을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팜사업을 비롯해 식량사업 확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ESG경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문제 등으로 현지 주민과 분쟁이 발생한다면 사업 확장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경고등이 들어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한국NCP(국가연락사무소)로부터 인도네시아 팜농장을 운영과 관련해 기업책임경영 이행을 권고받았다. 2019년 한국과 인도네시아 시민단체들이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을 위반 의혹을 놓고 이의신청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두 나라 시민단체들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인도네시아 팜농장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산림이 파괴되고 식수원 수질이 악화됐다고 주장했다.

한국NCP는 당사자 의견교환 및 조정절차 등을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최종 성명서를 통해 기업책임경영 이행을 권고하며 사건을 종료했다.

한국NCP는 포스코인터내셔널에 인도네시아 지역주민 등과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앞으로 사업과정에서 기업책임경영을 적극 이행할 것을 권고하는 동시에 6개월 뒤 추진실적을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다만 여기에 법적 구속력은 따르지 않는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그동안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하면서 팜사업 친환경국제인증(RSPO)을 받고 환경사회정책(NDCP)을 제시해서 추진해왔다”며 “한국NCP 권고에 따라서 이해관계자들과 그런 정책에 대해 계속 소통하고 설명하는 작업들을 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

RSPO(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는 생산·유통·가공 등 모든 단계에서 환경을 보호하고 경영 투명성, 지속가능성, 농장 책임경영, 지역사회 의무 등의 원칙과 기준을 지키는 곳에 인증을 발급한다. NDPE(산림파괴, 이탄파괴, 주민착취 금지) 정책은 환경보존 및 관리, 인권보호 및 존중, 이해관계자 소통 등 내용으로 구성돼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0년 NDPE 정책을 선언했고 지난해 RSPO 인증을 취득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한국NCP 권고에 발맞춰 ESG경영을 제고하는 일은 앞으로 식량사업 확대 전략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여러 글로벌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환경 및 사회문제로 분쟁이 벌어져 곤란을 겪은 사례가 여러 차례 있었다.

2016년 미얀마 주민들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가스전 개발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설명과 보상이 제공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한국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해 1심에서 대한민국 법원이 재판권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해 각하되기는 했으나 이런 법적 분쟁이 가뜩이나 업황변동이 심한 식량사업과 관련해 벌어진다면 불확실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글로벌 사업에서 환경문제를 놓고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어 포스코인터내셔널로서는 더욱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2024년까지 예정됐던 페루 8광구 가스전 사업을 조기철수하는 과정에서 페루정부가 사업 참여자들에게 지난해 1월부터 환경복구 벌금을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벌금은 운영사인 페루 8광구 플러스페트롤(다국적 석유기업)에 부과된 것으로 우리가 직접 대응하지는 않고 있다”며 “물론 포스코인터내셔널도 벌금을 일부 부담하고는 있지만 규모 등은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말했다.

자원개발뿐 아니라 식량사업에서도 언제든 환경 및 사회문제와 관련한 분쟁과 규제에 맞닥뜨릴 수 있어 ESG경영을 강화하는 일은 사업 성장에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는 셈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에선 사회적 책임과 상생 분야 ESG경영 정착을 위한 구조를 다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 주관 2021년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운영평가에서 하도급 거래에서 사전협의 할 수 있는 제도를 구축해 참여기업 가운데 최고 등급인 ‘AA’를 받았다.

지난해 10월에는 회사가 보유한 해외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자상한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