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이 환매중단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한 리스크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박성호 하나은행장은 사모펀드 사태 해결을 위해 피해자 구제와 소비자보호체계 강화에 따른 신뢰회복을 추진하고 있다.
 
하나은행 사모펀드 환매중단 리스크 끝나지 않아, 박성호 신뢰회복 온힘

▲ 하나은행 을지로 본점.


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이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와 관련해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환매중단 사모펀드 리스크가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하나은행이 환매중단 사모펀드 관련 압수수색을 받은 것은 옵티머스, 디스커버리 펀드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이번 압수수색은 2020년 7월 펀드 환매중단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하나은행 등을 사모펀드 사기 판매로 고발한 데 따라 이뤄졌다.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는 2017~2018년 이탈리아 병원들이 현지 지방정부에 청구할 진료비 매출채권에 투자하는 재간접펀드상품으로 국내에서 약 1500억 원어치 팔렸다.

여러 자산운용사에서 같은 펀드를 만들었는데 주로 하나은행을 통해 판매됐다.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액 규모는 1100억 원을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은행은 2019년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사태를 겪었는데 2020년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디스커버리펀드, 영국UK펀드 등 환매중단 사모펀드 사태에도 엮이면서 3년째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박성호 행장으로서는 환매중단 사모펀드와 관련한 수사와 제재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 답답할 수밖에 없다.

박 행장은 2020년 하나은행 자산관리그룹장에 오른 후부터 환매중단 사모펀드 투자자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년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사모펀드와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와 관련해 선지급방안을 내놓았고 2021년 5월에는 영국UK펀드 투자자에게 원금의 50%를 선지급하는 내용의 투자자 보호방안을 발표했다.

박 행장은 2020년 10월 국정감사에도 출석해 환매중단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해 "법적 판단을 통해 책임질 일은 책임지겠다"며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박 행장은 또 사모펀드 사태 재발방지를 위해 시중은행 최초로 소비자리스크관리그룹을 신설하고 이사회 안에 소비자리스크관리위원회를 마련하는 등 소비자 보호체계를 더욱 강화하는 데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하나은행이 펀드 판매 당시 부실을 알고도 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피해자연대 등은 4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하나은행은 사실과 다른 거짓내용으로 펀드상품을 소개하고 사실상 불가능한 5% 확정금리보장을 언급했다”며 “특히 하나은행뿐 아니라 자산운용사와 총수익스와프(TRS) 증권사들은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이미 펀드 부실을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의심된다”고 말했다. 

영국UK펀드 피해자들은 1월 하나은행을 형법상 사기 내지 특정경제범죄법 위반 및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서울남부지방검찰청에 고소했다. 

이들은 영국UK펀드 3종과 관련해 사기 판매가 아니었냐는 의혹도 제기한다. 영국UK펀드는 2018년 5월부터 1년 동안 하나은행에서만 판매됐는데 피해액 규모가 1363억 원으로 추산된다.

금융당국의 하나은행 사모펀드 관련 제재 결과가 나오는 데에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감독원의 하나은행 2차 제재심의위가 당초 예상과 달리 더 늦춰질 수도 있어 보인다. 

금융권에서는 2차 제재심의위가 11월 초에 열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는데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당장 11일에 어떤 제재심위의도 열리지 않는다.

제재심의위는 격주로 목요일마다 열리므로 11일 열리지 않으면 2차 제재심의위는 11월 말까지 밀려난다.

하나은행 2차 제재심의위는 7월15일 진행한 1차 심의에 이은 것이다. 라임펀드,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 독일헤리티지펀드, 디스커버리펀드 등 하나은행이 판매한 환매중단 사모펀드가 안건에 오르게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