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림 KB증권 각자대표이사 사장이 새 플랫폼 출시, 구독형 자산관리서비스 고도화, 해외주식 수수료 인하 등에 나서며 고객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 사장은 그동안 KB증권의 이익규모를 크게 늘리는 성과를 냈는데 라임펀드와 관련한 중징계 수위도 낮아질 가능성이 커져 KB금융지주 안에서 위상이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오늘Who] KB증권 고객몰이 탄력, 박정림 중징계 벗고 위상 높아지나

박정림 KB증권 대표이사 사장.


8일 KB증권에 따르면 박 사장은 상반기 자산관리부문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인데 이어 하반기에도 늘어나는 개인투자자를 잡기 위해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MZ세대 등 새롭게 자산관리시장에 들어오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들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KB증권은 8월14일 MZ세대용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마블미니'를 대대적으로 출시하며 고객몰이에 나섰다.

직관적 화면구성과 라이브커머스 시스템을 활용해 주식방송을 보며 매매를 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마블미니는 출시 약 3주 만인 3일 내려받기 10만 건을 넘어섰다.

해외주식을 처음 거래하는 고객을 위한 수수료 이벤트도 9월부터 새로 진행한다.

이벤트 참가를 신청한 고객은 이후 12개월간 미국, 중국, 홍콩, 일본시장의 주식을 거래할 때 0.07%의 온라인수수료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2일 기준으로 KB증권의 해외주식 원화거래서비스인 '글로벌원마켓' 가입고객은 100만 명을 넘어섰다. 특히 올해에만 52만 명이 증가하면서 해외주식 투자자의 유입세가 가팔랐다.

박 사장이 임기 중 내놓은 구독형 자산관리서비스 '프라임클럽' 고도화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6일 KB증권은 직접 지정한 전담PB(프라이빗뱅커) 전문가와 카카오톡 메신저를 이용해 종합자산관리 컨설팅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인 '프라임 상담톡'을 프라임클럽 신규서비스로 출시했다.

박 사장은 "소액자산가, 사회초년생 등 모든 국민이 디지털채널을 통해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며 "모든 국민이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을 때까지 국민의 평생 투자파트너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B증권은 상반기 순이익 3772억 원을 거두면서 반기 기준 최대실적을 또다시 경신했다.

모든 부문에서 고른 성과를 낸 상황에서 특히 수탁수수료가 3660억 원을 거두면서 전체 수수료의 65%를 차지했다. 

1년 만에 수탁수수료가 49.6% 급증한 것이다. 주식호황이라는 대외적 환경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금까지 박 사장은 자산관리부문에서 지속해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음에도 지난해부터 '중징계 리스크'를 안아 부담이 컸다.  

앞서 2020년 11월 금융감독원은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한 내부통제기준 마련 의무 위반혐의로 박 사장에게 중징계인 문책경고 조치를 내렸다.

금융위원회에서 박 사장의 문책경고 징계안이 확정된다면 3년 동안 금융권 취업이 제한돼 올해까지인 임기를 마치고 나면 연임이 불가능해진다.

박 사장은 2019년 1월 KB증권 각자대표이사 사장에 올라 2020년 말 한차례 연임하면서 통상적으로 KB금융그룹 계열사 대표들이 보장받는 2+1(첫 2년 임기에 1년 연임) 임기를 수행하고 있다.

박 사장이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는 만큼 중징계를 피한다면 연임 혹은 영전 가능성도 크다.

최근 법원 판결과 금융당국 수장 교체로 제재수위가 낮춰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8월27일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금융감독원 제재 취소소송 1심에서 승소하면서 박 사장을 비롯해 금융감독원 제재조치를 받은 전현직 최고경영자들의 징계수위도 경감될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같은날 인사청문회 자리에서 고승범 당시 금융위원장 후보는 판결 결과와 관련한 질문에 "금융위원장이 된다면 (금융회사 최고경영자 징계와 관련해)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갈지, 제도개선은 필요한 게 없는지 등을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고 위원장은 이전에도 금융회사의 창의성과 자율성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시장친화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피력해 온 만큼 박 사장의 제재수위가 낮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