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투자와 우리은행이 ‘라임자산운용 사태’에 휘말리며 신뢰성에 흠집이 날 것으로 보인다.

라임자산운용이 투자한 미국 헤지펀드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자산 동결조치를 받게 되면서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여파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라임자산운용 사태’로 신뢰성에 흠집 불가피

▲ 라임자산운용 로고.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와 우리은행 등 라임자산운용의 상품을 판매한 금융회사들이 잇따라 소송전에 휘말리고 있다.

법무법인 광화는 1일 미국 헤지펀드 인터내셔널인베스트먼트그룹(IIG) 등록취소로 손해가 예상되는 국내 투자자들을 대리해 라임자산운용을 고소할 계획을 세웠다.

법무법인 한누리는 2019년 12월31일 우리은행과 신한금융투자 등 판매사를 상대로 펀드판매 계약 자체를 취소하고 펀드 투자금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벌이기로 했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라임자산운용이 투자한 미국 헤지펀드 IIG의 등록을 취소하고 관련 펀드 자산을 동결하는 긴급 조치를 실시했다.

증권거래위원회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사태는 전문 투자자들도 ‘폰지 사기’의 희생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자산 동결은 대중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폰지 사기는 나중에 투자한 사람의 돈으로 먼저 투자한 사람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다단계’ 금융사기방식으로 불린다.

만약 라임자산운용과 판매사인 우리은행과 신한금융투자 등이 이런 사실을 알고도 해당 펀드를 판매했다면 불완전판매 의혹이 불거지는 것은 물론 국내 투자자를 기만했다는 ‘모럴 해저드’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헤지펀드 IIG는 이미 2018년 말부터 폰지 사기 등의 방식으로 부실펀드를 운용하고 있다는 의혹에 휩싸이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아왔다. 하지만 라임자산운용은 2019년이 되어서도 여전히 해당 펀드 수탁규모를 늘려왔다.

라임자산운용과 신한금융투자, 우리은행 등이 부실펀드 징후를 알고도 계속해서 펀드를 판매했다는 의혹에 더욱 힘이 실리는 셈이다.

현재 라임자산운용 무역금융펀드는 신한금융투자가 900억 원가량을 판매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 우리은행이 보유한 판매잔액은 700억 원가량인 것으로 추산됐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라임자산운용 사태'와 관련해서는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해당 펀드를 조성하고 운용하는 것이 아닌 판매사로서 역할이었던 만큼 자세한 사항을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신한금융투자는 논란이 된 무역금융펀드 조성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책임을 면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라임자산운용의 무역금융펀드는 신한금융투자로부터 받은 대출금 3500억 원과 개인투자자의 투자금 2400억 원 가량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40%는 미국 헤지펀드 IIG에 투자됐다.

신한금융투자는 2017년부터 라임자산운용과 총수익스와프(TRS) 거래 방식으로 해당 무역금융펀드에 대출을 내주는 등 라임자산운용과 돈독한 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이번 거래는 라임자산운용의 지시에 따른 활동일 뿐 신한금융투자의 자체적 의지가 개입될 여지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